본문 바로가기
▶ Data KorLab 💁🏻‍♂️

5월 Data KorLab 업데이트 공지

by 글래빈🇺🇸 2022. 5. 8.



안녕하세요. Data KorLab 멘토 글래빈입니다.
루나님과 함께 Data KorLab을 시작하면서, 여러분께 달마다 컨텐츠를 조금씩 조금씩 추가하게 될 것 같다고, 말씀 드렸었는데요.

이번 5월 업데이트에 대해서 안내해 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우선,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싶은 욕심은 있지만, 저희의 시간과 체력에는 항상 제약이 있기에 우선순위를 정해서 컨텐츠를 추가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우선순위를 고려할 때 저희가 이전에 학생일 때,
- 대학원을 준비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 대학원 프로그램에 합격했을 때의 입장에서
- 대학원 과정 중에서
5월에는 어떤 것을 준비했으면 좋았을까? 라는 질문부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컨텐츠 추가의 우선 순위를 결정 하였습니다.


1. 현직자와 함께하는 1:1 대학원 진학 컨설팅


루나님께서 4월부터 진행해 주시고 계셨던 [현직자와 함께하는 1:1 취업 준비 컨설팅]의 경우에는, 졸업을 앞두고 미국 취업을 당장 앞두고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였는데요.
제가 4월에 진행했던 SQL-Leetcode 실전반 역시 대학원 프로그램 중이거나, 미국 취업을 당장 앞두고 테크니컬 인터뷰를 준비하셔야 하는 분들을 위한 컨텐츠였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고 있는 지원자분들을 위한 컨텐츠가 없어서 저희도 조금은 아쉬웠는데요.

그래서 [현직자와 함께하는 1:1 대학원 진학 컨설팅]을 5월부터 진행해 보고자 합니다.

이 컨설팅을 기획하게된 동기는 기존에 커피챗을 통해서 여러 지원자분들이 상담을 신청해주셨을 때, 제가 가진 많은 정보, 자료, 링크들을 공유해 드리고 싶었으나, 커피챗은 음성 only라는 한계점이 명확하게 있고, 상대방과 연락처를 공유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는 점, 또한 시간 제한이 20분이라는 점 때문에 많은 아쉬움이 남았었습니다.
또한, 많은 분들이 미국 대학원에 대한 막연한 꿈은 있지만, 상대적으로 긴 준비기간과 만만치 않은 비용 그리고 시간투자 때문에 중도에 포기하시는 분들이 많은 점도 이 컨설팅을 기획하게 된 또다른 동기 중에 하나인데요.
이렇게 미국 데이터 석사 유학에 관심이 있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잘 모르시겠는 분들, 막상 실천이 잘 안되시는 분 (누군가의 푸쉬가 필요하신 분), 내가 준비하고 있는 것들이 효율적으로 올바르게 준비하고 있는 것인지 확인 받고 싶으신 분 등을 위해서
다양한 니즈를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는 컨설팅 프로그램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특히, 저는 초중고 학부를 모두 한국에서 나왔고, 비전공자로 이 여정을 시작했으며, 2개의 석사 프로그램 (Analytics와 Statistics/Data Science)을 한 것이 저의 특이사항(?)인데요. 이런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쌓은 경험치를 바탕으로, 지난 몇 년 동안 지인들을 중심으로 상담을 진행하면서 대학원 진학 멘토링을 해왔습니다. 이제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많은 분들께 미국 대학원이 막연한 꿈이 아니라 올바른 정보와 의지만 있다면 내 이야기로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을 드리고 싶습니다.
https://datakorlab.teachable.com/p/1-11

현직자와 함께하는 1:1 대학원 진학 컨설팅

자주 하는 질문(FAQ) 🙋🏻 미국 대학원 진학 컨설팅 과정은 어떻게 진행이 되나요? ▶️ 컨설팅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양합니다. 이는 각 지원자 분들이 현재 미국 대학원 진학과 관련해서 알고

datakorlab.teachable.com




2. SQL 개념반


SQL 개념반은 지난 4월에 SQL - Leetcode 실전반을 진행하면서 다음 달에 약속 드렸던 컨텐츠였는데요.
이미 SQL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여러번 강조해서 말씀 드렸었기 때문에, 이전 글로 대체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s://uslife101.tistory.com/65

내 첫 데이터 관련 job을 얻을 때 가장 중요한 SQL (Feat. 미리미리 공부하자!)

합격하신 후에 고삐를 늦추지 않고, 어떤 공부를 어떻게 해야 더 나은 대학원 생활 +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이런 질문을 드리면 보통, R이나 Python (혹은 둘 다) 을 열심히 하고 계시더라구요. 그

uslife101.tistory.com


대학원 프로그램을 (보통 가을 학기에) 시작하시게 되면 첫 학기/텀이 채 끝나기 전에, 다음 해 Spring 또는 Summer Internship을 지원하셔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바로 10-11월에 인터뷰를 볼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SQL은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학습하실 수 있는 언어이고, 또 상대적으로 널리 쓰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시작 전까지 미리 공부해 가시는 경우, 많은 어드밴티지를 누리실 수 있습니다. SQL 하나만 잘하셔도, Internship 더 나아가 풀타임 포지션 (Business Intelligence Analyst, Business Intelligence Engineer 등)과 같은 잡 타이틀로 일을 하실 수 있구요.
기존의 데이터 사이언스 교육 플랫폼인 Datacamp의 커리큘럼을 차용하였으나, 그 내용만으로는 조금 부족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어서, 제가 추가적으로 각 SQL 구문이나 함수마다 예제를 추가하였고, 여기에 수업이 끝난 후 직접 배우신 개념들을 학습해 보실 수 있는 Activity questions를 준비하였습니다.
형태는 아직 제가 동영상 강의를 찍을 수준은 안되는 것 같아서, Zoom 라이브로 매주 1회씩 총 8회차에 걸쳐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커리큘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혹시, 선수과목(Prerequisite)으로 Datacamp의 certificates이 필요하실 수도 있는 분들을 위해서 커리큘럼을 연동하였습니다만, 어디까지나 optional임을 알려드립니다.
데이터 대학원 진학을 위해서 SQL 선수과목을 준비해야 하는 분, 관련 대학원에 합격했지만 프로그램 시작 전까지 SQL의 기초 개념에 대해서 확실하게 준비해 가고 싶으신 분, 관련 대학원 프로그램 중에 있지만, 기초가 부족해서 따라가기가 힘드신 분, 테크니컬 인터뷰 전에 개념을 한 번 다시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복습하고 싶으신 분, SQL을 쓸 줄은 알지만 문제를 좀 더 많이 풀어보고 싶은 분 등이 들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첫 코호트는 5월 14일에 첫 수업을 시작으로 매주 토요일 9시 EST/EDT (미국 동부시 기준)에 진행 예정이며, 약 8주 동안 진행될 예정입니다.
https://datakorlab.teachable.com/p/prerequisite-sql

Prerequisite 준비반 - SQL

📜 SQL 기초 개념반 스터디 소개 이 SQL 준비반에서는 데이터 관련 대학원 진학을 위한 Certificate 획득 (prerequisite 충족을 위한)과 더불어 SQL 테크니컬 인터뷰를 보시는데 필요한 SQL의 기본적인

datakorlab.teachable.com




3. SQL - Leetcode 실전반 부분 리뉴얼(?)


SQL - Leetcode 실전반을 지난 4월 한 달 동안 운영해보면서 느꼈던 점은 제가 주중에 매일 풀어보라고 드렸던 컨텐츠는 생각보다 문제의 숫자가 많아서 모든 분들의 progress check를 하기가 조금 버겁다는 점이었습니다. 하지만, 매주 일요일 오후 9시 EST (미국 동부시 기준)으로 진행했던 Zoom 라이브 미팅은 제가 예상했던 것보다 많은 분들이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셨었는데요.
특히, 주말 늦은 밤에도 불구하고 직접 15분 정도 Leetcode 실전 문제들을 고민해보고, 내가 생각해 본 접근 방식을 이용해서 다른 분들과 의논할 수 있던 점이 unique한 경험이었고, SQL 테크니컬 인터뷰를 준비하는데 나의 생각의 범위를 확장실킬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피드백도 받았는데요.
그러다 보니까 주말 Zoom 미팅이 기존에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길어졌던 것 같습니다 ㅎㅎ 그래서 무리하게 주중에 매일 문제를 풀도록 요청드리는 것보다는, 부담없이 참여하실 수 있도록 주말 Zoom 미팅만 진행하는 것으로 컨텐츠를 부분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매주 일요일 9시 EST 에 진행되는 Zoom 미팅에 앞서서, 풀어보게 될 문제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안내를 드리고, 실제 Zoom에서 모여서 시간을 재고 직접 풀어보고, 이후에 다른 분들과 나의 접근 방법에 대해서 토론을 해보는 식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문제는 난이도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3-4 문제를 커버하게 되고, 시간은 약 1시간 반에서 2시간 정도 진행이 이루어질 것 같습니다. SQL - Leetcode 실전반 스터디는 언제든지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등록해주신 시점으로부터 그 주 주말 미팅부터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https://datakorlab.teachable.com/p/sql-leetcode1

SQL - Leetcode 실전반 스터디

🏃🏻‍♂️🏃🏻‍♀️혼자하면 지루하고 쉽게 포기하게 되지만, 함께 하면 더 멀리 갈 수 있습니다.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로써, “에스큐엘" 또는 “시퀄" 이라고 읽습니다. SQL은

datakorlab.teachable.com



4.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with R


많은 분들이 또한 관심을 가져주셨던 컨텐츠 중에 하나가 바로 R/Python에 관한 컨텐츠였는데요. 사실, SQL과 비교했을 때 R이나 Python은 그 내용도 훨씬 방대하고, 다루어야 할 통계적 개념도 훨씬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걸 여러분께 어떻게 잘 구성해서 전달 (delivery)를 해야할지도 고민이 많습니다.
루나님과 제가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 본 결과, Data KorLab에서 R 관련 컨텐츠는 앞으로 제가 담당할 예정이며, Python 관련 컨텐츠는 루나 멘토님께서 진행해주실 예정입니다.
R 관련 컨텐츠 중 가장 처음으로 진행해보고자 하는 컨텐츠는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with R] 입니다.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시는 분, 대학원에 재학 중인 분들께서 가장 많이 물어봐 주시는 질문 중에 하나가, 미국 취업을 위한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잘 모르겠다는 이야기를 많이 해주시는데요.
저 개인적으로는 처음부터 완벽한 데이터 프로젝트를 만들려고 하기 보다는, 처음부터 끝까지 그 프로세스를 엉성하게라도 직접 경험해 본 후 (lean 하게 경험해 본 후), 이후에 여러번 반복하면서 점점 고도화 시켜나가는 방식을 항상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빠듯한 시간과 일정 그리고 내가 이걸 정말 잘하고 있는 것이 맞는가? 특히, 현직에 있는 사람들이 봤을 때 자칫 내 부족한 실력이 드러날까봐에 대한 두려움이 있으신 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이런 저런 고민이 많은 분들에게 자신감도 드리고, 함께 고민하면서 발전시키는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with R 코칭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with R은 미리 데이터셋이나 주제를 정해놓고 시작하기 보다는, 멘토와 멘티가 Pre-Consulting을 통해서 함께 알맞은 주제와 데이터셋을 선정하는 포맷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런 형식은 비록 더 시간과 노력을 많이 필요로 하긴 하지만,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의 궁극적인 목표가 멘티의 실력 향상임을 고려하였을 때 가장 적절한 포맷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의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클래스는 미리 정해진 주제와 코드를 제공하는 하는 형식으로 이루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이는 멘티분들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강의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포맷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수강생은 프로젝트에 대한 동기가 부족할뿐만 아니라, 분석에 사용된 방법론에 대해서 깊이 고민해 볼 기회와 시간이 충분히 주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e.g. A와 B 방법론 중에서 왜 A 방법론을 사용했는가? 같은 질문)
분명히 이후에 본인의 프로젝트에 대해서 설명해야 할텐데, 이런 프로젝트는 인터뷰 시에 조금만 질문의 깊이가 깊어지게 되면, 대답하시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실 확률이 높습니다. 이에 처음부터 차근차근 "내 프로젝트"라는 느낌이 드실 수 있도록, 멘티님과 사전 상담을 통해서 관심있는 산업군/직무 등을 최대한 반영하고, 그 산업군/직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분석 방법론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며, 데이터셋과 주제를 선정하고자 합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인 블로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 생성을 위한 사전 준비 단계

  • R/R Studio 설치 및 분석 환경 세팅
  • Github 가입 및 Git 사용법 (version control)
  • GitHub Pages 또는 Rmarkdown을 이용한 개인 포트폴리오 블로그 웹페이지 만들기 (템플릿 제공 예정)
  • 향후 블로그 웹페이지의 방문자 추적을 위한 Google Analytics 세팅


2️⃣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Development

  • 멘티의 향후 목표를 고려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주제 및 데이터 선정
  • 멘티의 산업군 또는 직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법론에 대한 탐색
  • 전처리 (Preprocessing) 및 탐색적 데이터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 적절한 분석 방법론에 대한 논의 후 분석 진행
  • 결과 해석 및 요약 (시각화, 보고서, 슬라이드 등)
  • 개인 포트폴리오 블로그에 웹 퍼블리싱

하지만, 멘토링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멘티는 반드시 어느 정도의 통계적 방법론과 이를 구현할 수 있는 R 프로그래밍의 사전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멘토는 사용될 통계적 방법론에 관련된 정보/자료 및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지만, 기초 개념 설명 강의나 프로그래밍을 대신 해드리지는 않습니다.
1:1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고, 프로젝트 퀄리티를 위해서 2-3명 정도만 이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코칭반을 진행해 보고자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개인적으로 문의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datakorlab.teachable.com/p/with-r1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with R

R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만들기 이제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프로젝트를 현직자 멘토와 함께 만들어 보세요.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의 전 과정을 멘토의 피드백 하에 직접 만들고 발

datakorlab.teachable.com




마무리하며


항상 Data KorLab은 여러분 모두에게 원하시는 컨텐츠를 다 제공해 드리고 싶은 욕심이 있습니다만, 항상 각자 본업도 있을 뿐더러 컨텐츠를 개발하고, 이것을 또 어떻게 구성해서 전달해 드릴까는 정말 많은 고민을 필요로 하더라구요...

위의 새로 추가된 프로그램에 EARLYBIRD30 프로모 코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꼭 결제하실 때 프로모 코드 입력하시는 것 잊지 마세요 😊

혹시, 기타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카카오톡으로 연락 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글래빈님의 오픈프로필

uslife101.tistory.com

open.kakao.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