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데이터 대학원 지원25

미국 대학원 데이터 분야 진학 가이드: 경쟁률 상승과 인터뷰 준비 전략 올해 미국 대학원 데이터 관련 분야로의 진학을 고려하고 있는 학생들과 컨설팅을 진행하면서 접한 여러 질문 중, 두 가지 주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글은 특히 올해의 경쟁률과 인터뷰 과정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 Fall 2024 경쟁률에 대한 고찰먼저, 많은 학생들이 궁금해하는 올해의 대학원 진학 경쟁률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네, 올해는 특히 경쟁률이 센 편입니다. 이는 주로 미국 내 경제 위기와 관련이 깊습니다. 최근 경제 상황은 많은 엔트리 레벨의 직업 시장을 축소시켰고, 이로 인해 졸업을 앞둔 학부생들 사이에서 대학원 진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대학원 진학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주된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특히 데이터 관련 .. 2023. 12. 13.
새롭게 변경된 GRE 시험에 대하여 ETS가 발표한 오는 2023년 9월 22일부터 적용될 GRE 개편안에 따르면, 시험 시간이 기존 4시간에서 2시간 미만으로 큰 폭으로 단축됩니다. 각 섹션은 줄었지만, 여전히 언어 추론, 양적 추론, 비판적 사고, 분석적 글쓰기 기술을 측정합니다.점수는 이제 8~10일 내에 나오기 때문에 더 빠르게 대학원 지원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변화는 최근 몇 년 간 COVID-19로 인해 GRE 점수 제출이 optional으로 바뀌는 학교/프로그램들이 증가하는 추세하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Feat. standardized exam의 위기)그간 미국 대학원 진학의 진입 장벽을 높이고 있던 요소 중 하나가 바로 GRE인데요. 지난 몇 년 간 대학원 진학 컨설팅을 하면서 정리해 본 데이터에 의.. 2023. 10. 26.
SOP (Statement of Purpose, 학업계획서) 에서 나의 Prerequisite (선수과목) 강조하기 최근 비전공자들의 지원 증가 대학원 진학 컨설팅을 진행하다 보면, 최근 비전공자 분들이 지원하시는 분들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비전공자 분들의 가능성이 전공자 분들보다 높다고 할 수는 없지만, 얼마나 어떻게 지원서를 준비하시는지에 따라서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지난 수 년동안 목격하고 있습니다.특히, 오랜 기간동안 Data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하게 필요한 기초 지식 (수학, 통계/ML, 프로그래밍 등)과 관련 경험을 발전시켜 왔다는 모습을 보여주시는 것이 가장 핵심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필요한 선수과목 프로그램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는 Calculus ICalculus IICalculus III - Multivariate CalculusPrinciple of Stati.. 2023. 1. 7.
데이터 석사 선수과목 (Prerequisites) 수강, 어떻게 채워야 할까? 저희가 상담을 진행하면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였던, 선수과목 수강하는 방법 (Prerequisites)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고자 합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학교 by 학교로 너무 다르다는 건데요.  따라서, 지원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직접 문의해보거나 링크드인 등을 통해 현재 재학생이나 졸업생들을 컨택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빠른 방법이라고 조언을 드리고 있습니다. 데이터 석사 프로그램도 그 종류와 선수과목으로 요구하는 강의들이 너무 다르기 때문에, 오늘은 저 글래빈과 브라이언이 이 문제에 대해서 대화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크게 수학과 프로그래밍 경험으로 prerequisites을 나누어 볼 수 있었는데요. 참고로 저 글래빈과 브라이언은 Duke에서 Analytics 석사를 같이 했고,.. 2022. 2. 3.
LaTeX를 이용한 resume나 CV를 추천하지 않는 이유 오늘은 되게 사소하고 디테일 할수도 있는 부분이지만,얼마 전에 친구들끼리 한 이야기를 주제로 포스트를 적어볼까 한다. 바로,Resume를 Overleaf 같은 LaTeX로 적어도 괜찮을까? 라는 주제에 관한 내용이다.  우선 LaTeX 또는 Overleaf에 대해서 익숙하지 않은 분들께 잠깐 소개하자면,LaTeX는 논문이나 출판물 등에 수식 등을 표현하기 위해서 자주 사용하는 특수 형식 문서를 작성하는 데 쓰이는 시스템이다. 보통 자연 과학이나 인문 과학중 수식, 그래프, 다이어그램을 많이 그리는 분야에서 자주 사용한다. 다음을 살펴보도록 하자.\documentclass[12pt]{article}\usepackage{amsmath}\title{\LaTeX}\date{}\begin{document} \m.. 2022. 1. 5.
728x90